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대학원 준비 / 미국 유학 합격 후기 (+점수, 자주 묻는 질문)

 

합격 발표를 기다리는 대부분의 지원자들이

가장 고통스러워하는 기간 3~4월

출처 : 도서 '김박사넷과 미국 대학원 합격하기'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끈기있게 기다린 끝에

총 3개 대학교에서 합격 통보를 받았습니다.

진학 결정한 학교는

4월 말에서야 오퍼레터를 받았는데요.

텍사스A&M대학교 (Texas A&M University)입니다.


 

미국 대학원 합격 스펙 & 점수

 

✅ 유학 재수

✅ 학부 : 부산/경북

✅ 자대 석사

✅ SCIE 1저자 1편

✅ TOFLE : 85점

✅ GRE : 310점

전년도 가을학기에 지원했다 한번 실패하고,

이후년도 가을학기에 두 번째로 지원한 재수생입니다.

부산대/경북대 라인에서 학사를 마치고,

자대 석사 후 회사에서 재직하고 있었습니다.

TOFLE이나 GRE 점수가 좋은 편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이미 한 번 경험이 있어서 SOP 내용 구성에서

일반적으로 저지르는 실수들을 하지 않았고,

본인의 목적을 정확히 서술한 SOP를 구성해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PS의 작성 목적에 맞는 PS를 작성했고

미국 박사 과정 재도전에 성공했습니다.

 

미국 대학원 준비 자주 묻는 질문

 

❓ 탑스쿨 지원 시 학벌의 영향이 클까요

❓ 국내 석사라는 이유로 탈락할 수도 있나요

❓ GPA가 낮으면 현실적으로 미국 유학 가능성은?

❓ GRE 최저점이나 흠 잡히지 않을 점수?

❓ 논문 실적이 부족해서 리젝될 수 있을까요?

대부분의 질문이 모두 결국

'스펙'이 어느 정도 되어야 합격하냐는 질문입니다.

또는 여러 스펙 중 어떤 스펙에 집중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묻는 질문들이지요.

하지만 다음 학생의 스펙을 볼까요.

✅ SPK 학사/석사

✅ summa cum laude

✅ TOEFL 105+

✅ GRE 330+

✅ 1저자 2편 외 공저자 출판물&특허 다수

99%는 이 사례보다 스펙이 좋을 수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위 학생은 지원한 모든 대학에서 떨어졌습니다.

이 정도의 '스펙'을 가진 연구자라면 응당 지녀야할 자질을 서류&인터뷰로 증명하지 못했다는 뜻이죠.


 

'스펙'이 부족해도 합격한 사례는 수없이 많습니다.

이 독보적인 성과들이 인과관계가 명확한 결과물임을 증명해야만 합격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것이 미국 대학원 준비 과정의 본질입니다.

가장 기초적인 사실은 이제 알았는데, 그렇다면 실제 서류 준비와 인터뷰는 어떻게 진행해야 될까요?

 

 

 

미국 대학원 유학의 진실과 합격 전략에 대해

<김박사넷과 미국 대학원 합격하기>가 알려드립니다.

 

 

✅ 미국 대학원 준비과정 A to Z

✅ 미국 대학원 석박사 합격 실제 사례 전격 공개

✅ TOP스쿨 대학원 진학 전략


 
김박사넷과 미국 대학원 합격하기
커리어 발전을 위해, 또 본인의 비전을 위해 미국에서 석박사 과정을 밟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미국 유학의 핵심을 짚어내는 국내 유일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책은 처음 미국 유학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해 김박사넷 유학교육 프로그램이 마련한, 미국으로 향하는 디딤돌이다. 미국 대학교가 풀펀딩, 즉 학비는 물론이고 생활비와 체류비까지 1년에 1억 원 가량의 돈을 몇 년씩 투자해가며, 향후에 미국을 위해서 일할지도 확실하지 않은 외국인 학생들에게 기회를
저자
유일혁, 박향미, 임형광
출판
영진닷컴
출판일
2025.02.28

 

*해당 포스트는 도서 <김박사넷과 미국 대학원 합격하기>에서 발췌한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글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