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

Public IP(공인 IP, 외부 IP) vs Private IP(사설 IP,외부 IP)

* 본포스팅은 <개발자와의 협업을 위한 IT 필수 지식>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IP의 개념은 대체로 잘 아는데, Public IP와 Private IP의 차이는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개념은 명확하게 알아 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개발자 가 서버나 장비의 접속에 관해 얘기할 때 두 개의 IP 개념을 명확히 구분해서 사용하는데, 여러분은 이 개념을 구분하지 못해서 대화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Public IP는 [공인 IP] 혹은 [외부 IP]라고 하는데, 외부에서 나를 찾는 주소로, 통신사가 집이나 회사에 인터넷이 연결되도록 만들어 주는 회선에 부여된 주소입니다.
Private IP는 [사설 IP] 혹은 [내부 IP]라고 하는데 내부에서 나를 찾는 주소입니다. 외부에서 우리 집에 인터넷을 연결하고, 집안에서는 하나의 인터넷 회선으로 여러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쓸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기능이 포함된 모뎀을 연결해 주는데, 선이 하나 들어오면 분배기를 통해서 안방에서도, 거실에
서도 인터넷을 쓰게 되는 구조입니다. 

 

이렇게 집안에서 분배되는 경우 내부에 있는 장비, 즉 컴퓨터끼리 서로를 확인할 수 있는 IP 주소입니다. 

 

 

실생활에 비유해 보겠습니다. Public IP는 [집주소]와 같습니다. 외부의 누군가에게 말하면 찾아올 수 있는 주소입니다. Private IP는 [우리 집안 내의 위치 정보]입니다. 

 

예를 들면 안방 같은 것입니다. 택배 주문을 할 때 Public IP가 되는 [가나동 12번지]와 같은 집주소를 쓰면 문제 없이 배달되지만, 택배 주소지에 Private IP가 되는 [우리 집 안방]이라고 주소를 적으면 절대로 택배를 받을 수 없습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조금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로 우리 주변에는 그림과 같이 인터넷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터넷을 쓰기 위해서는 최소 1개의 외부 인터넷 Public IP가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안에 Private IP가 분배되어 있습니다. 그림의 모든 서버나 PC는 외부 IP 장비에는 접속이 가능하고, 내부 IP 장비에는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반면에, 내부에 있는 장비 간에는 서로의 위치를 찾고 접속하는 게 가능합니다.


Public IP와 Private IP의 차이를 모르면, 프로젝트 중 다음과 같이 개발자와 대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마무리 기간에, 기획자가 서비스를 준비하는 서버에 자신의 사무실에서 접속해서 최종 테스트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개발자가 이렇게 말합니다. “기획자 님, 저희 서버가 아직 외부에 회선 개통을 하지 않아서, 서비스를 오픈하려면 회선을 개통해야 합니다.” 그런데 기획자는 이상합니다. 

 

지금도 자기는 그 서버에 접속해 있고 정상적으로 화면이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서버와 본인의 PC가 같은 내부에 있어서, 본인이 내부 IP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외부 IP 개념이 없으면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한 IP 회선을 부여받거나 방화벽 오픈을 해야 한다는 말에 어리둥절하거나 대비를 못해서 문제가 생기곤 합니다. 상황은 다를 수 있지만 이와 유사한 경우가 많으니 꼭 기억하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Public IP와 Private IP를 구분하는 간단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사무실에서 인터넷 포털에 접속해서 [내아이피]를 검색하면, 그림에서 보는것처럼 여러분의 외부 IP가 나옵니다. 이것을 같은 사무실에 있는 다른 직원들 컴퓨터에서 해 보면, 모든 컴퓨터에 동일한 주소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여러분의 회사가 통신사에서 개통한 근본 인터넷 라인의 주소입니다. Private IP는 윈도의 커맨드 창에서 [ipconfig]라는 명령을 실행해 보면,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정보가 나옵니다. 이게 바로 내부 IP입니다. 


 

《개발자와의 협업을 위한 IT 필수 지식》

예스24 / 교보문고 / 알라딘

 

반응형